
채운
우선 문제를 풀기 위해선 당연하게도 각 칸 들을 채워야 합니다.
퍼즐을 보시면 전부 영어로 되어 있는데 제목만은 한글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단순하게 저것들을 해석하여 빈 칸을 채워보시면 칸 수가 맞는 것도 있지만 안 맞는 것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로 1번의 경우 Water로 다섯 칸이 채워지지만 가로 2번의 경우 Blood로 채우기에는 상당히 칸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하게 해석을 하여 채우는 것이 아닌 무언가 푸는 방식이 있겠구나 생각을 한 후 여러가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우선 제목이 한글로 되어있기도 하고 대부분 미궁러들은 '뭔가 안 맞는데?' 싶으면 다른 글자로 치환을 해보기도 하는데 이 중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경우인 영어를 한글로 치환하는 것을 우선 해보도록 합시다.
그렇게 가로부터 보면 1. 인체의 60~70%를 이루고 있는 것 = 물 2. 인체에 흐르고 있는 붉은 액체 = 피 3. 곡식을 세는 단위 = 톨 4. 어딘가 들어갈 때 열고 닫는 것 = 문이 됩니다. 그리고 세로를 보면 1.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생산량이 많은 곡식 = 밀 2. 머리를 빗을 때 쓰는 것 = 빗 3. 점, ?, 면 = 선이 됩니다.
이렇게 각 답들을 도출해낸 뒤 조건을 통해 칸을 채우시면 됩니다.
조건 1을 보시면 칸을 채울 때 소리내어 읽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각 답들을 보시면 전부 한 글자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소리내어 읽어보면 물 = Mool 피 = Pea or Pee or Fee 톨 = Toll or Tall 문 = Moon 밀 = Meal or Mill 빗 = Bit 선 = Sun or Son이 됩니다. 그리고 발음된 것들을 다시 해석해주면 Mool = 경토, 옥토, 묘토 Pea or Pee or Fee = 완두콩 or 오줌 or 수수료,요금
Toll or Tall = 통행료, 요금 or 키가 큰 Moon = 달 Meal or Mill= 식사, 끼니 or 방앗간 Bit = 약간, 조금 Sun or Son = 해 or 아들이 됩니다. (헷갈리지 않게 전부 발음을 기준으로 했고 영어 단어의 경우 사전에 검색했을 때 바로 나오는 단어들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이제 이 도출된 답들을 빈 칸에 채워 넣으면 되는데 결과적으로 빈 칸을 채우시다 보면 경우의 수를 따졌을 때 Mool은 경토가 되고
Pea or Pee or Fee는 Pea로 완두콩이 되며 Toll or Tall은 Toll로 요금이 되고 Meal or Mill은 Meal로 끼니가 되며 선은 sun이 아닌 son이 되어 아들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두 번째 조건인 기본적인 갯수(수량)를 적용시켜라를 이용해야 하는데 완두콩의 ㅘ나 끼니의 ㄲ는 한 칸에 채울 수도 있고 ㅗㅏ와 ㄱㄱ으로 나누어 두 칸으로 채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갯수를 적용시키라는 것은 겹자모가 아닌 기본 자모인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지키라는 뜻으로 ㅘ는 ㅗㅏ로 나누고 ㄲ도 ㄱㄱ으로 나누어 쓰라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그 후 제대로 빈 칸들을 채워준 후 무지개 색을 통해 나열을 해보면 ㄱ ㅜ ㄱ ㄷ ㅡ ㄴ ㄱ이 됩니다. 그 후 세 번째 조건에서 노랑과 초록, 남색과 보라를 합치라고 했는데 이는 각각 말이 되는 글자가 되게 합치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저 나열된 글자들을 그대로 읽어보면 국든ㄱ이라는 말도 안되는 단어가 나오지만 노랑인 ㄱ과 초록인ㄷ을 말이 되는 글자가 되도록 합치면 ㄹ이 되고 남색인 ㄴ과 보라인 ㄱ을 말이 되는 글자가 되도록 합치면 ㅁ이 됩니다. 그 후 제대로 나열해보면 구름이라는 단어가 완성되는데 이 구름을 보시면 무지개 빛을 띄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지개 빛을 내어 무지개 색 구름이라 불리는 채운을 나타내는 것으로 답은 '채운'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