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흔히 늑대라고 하면 고독한 생물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그 실상은 핵가족 단위의 사회생활을 하는 의외로 협력적인 동물이다.
이들은 그들 무리간의 소통을 위해서 고유의 울음소리를 조절하여 의사소통을 하는데,
아래는 어떤 늑대의 하울링(Howling)소리를 도식화 한 형태이다.
temporary
사실 본 문제는 울음소리와 파형을 토대로 디자인 주제를 삼았지만,
문제풀이에는 별로 도움이 안 된다고 볼 수 있겠다. (야)
주어진 문제를 보면, 얕은 색의 파형과 짙은 색의 파형이 존재한다.
얕은 색의 파형은 각 세로 줄 마다 하나 씩 겹쳐지는 구간이 있는 반면,
짙은 색의 파형은 몇몇 세로 줄에 대해서만 겹쳐지는 구간이 있다.
즉, 얕은 색은 어떠한 큰 틀을 나타내고,
짙은 색은 우리가 찾아야 하는 정답이 되겠다.
하단에 보면 직선 막대기가 몇 개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사실 한자를 아주 간략하게 표시 한 형태이다.
한자라고해서 너무 겁먹지 말자.
저기에서 사용 된 한자는 一二三四 ... 十(일이삼사 ... 십) 까지 정도니까.
그리고 보면 알겠지만, 큰 十(십) 문자 우측 상단에 작은 문자 몇개가 존재하는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수학용어에서 지수표기법(10^4, 2^6 같은거...)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경우 지수 부분에 가로 직선 하나가 더 붙는데
사실 이거는 마이너스를 의미한다.
즉, 주어진 문자를 해석해보면 각각
10^-12, 10^-3, 10^3, 10^21로 해석이 된다.
보면 알겠지만, 10^3에 대한 지수 표기법으로 각 구간이 나뉘어져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약간의 검색을 통해 찾아본다면,
아마 SI 접두어와 관련 된 내용을 얻을 수 있다.
SI 접두어가 뭔지 모른다면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실 바란다.
아마 중고등학교 과학시간의 내용을 떠올려본다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SI_%EC%A0%91%EB%91%90%EC%96%B4)
(흔히 KMGTP - 갈매기털빼 라고도 암기시키는 그 접두어..)
옅은 색의 그래프가 나타내는 내용은, 각 접두어의 글자 수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짙은 색의 그래프는 문자 하나하나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제목에 보면 o에만 색깔이 칠해져 있는데,
그래프에도 특정 부분에 점이 찍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해당 점은 o라는 문자를 나타내며,
이를 토대로 각각의 글자를 적절히 채워 나갈 수 있다.
최종적으로, 앞선 풀이를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짙은 색의 그래프에 나타나는 문자만 찾아내면
temporary라는 단어를 얻을 수 있다.
+ TMI 1
그래프 좌측에 그려진 알 수 없는 문자를 180도 돌려서 맨 윗부분만 보면
각각 일, 이, 삼, 사, 오 에 해당하는 자음모음이 나온다.
+ TMI 2
늑대 삽화를 하나 넣으려고 했는데
무료 일러스트 중에서 뭔가 괜찮은 친구가 없어서
저 제목 옆에 일러스트는 직접 그렸다
(사진 보고 그렸는데 늑대라기 보단 개가 된 느낌;;)
(대충 아웅거리는 사진)
+ TMI 3
파형 컨셉은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 게임 내 시스템에서 따왔습니다
원래는 해당 컨셉을 더 차용해서 각 파형마다 5개의 늑대머리를 그려서 디자인하려 했는데
아 이게 타자만 치고 ppt 디자인만 하다보니 그림 손은 똥손이라... 한 마리만 그렸습니다
왼쪽에 이상하게 생긴 문자는 옛날 전서체 형태 한자하고 태국어를 짬뽕해서 만든 풍의 조작된(?) 문자이고요,
제목의 폰트는 '나눔손글씨 마고체'를 사용했습니다.
풀이의 영문 폰트는 '국립박물관문화재단클래식'을 사용했습니다.
저작권은 소중하니까요 (찡긋) (사실 저작권으로 고소미 먹기 무서워요)
어.... 음...
네, 끝입니다! (!)